오늘의 뉴스

대한민국 국민연금 고갈 위기, 90년생이 내야 할 연금과 받을 연금은?

MR.song_ 2025. 2. 10. 12:01
300x250
BIG

국민연금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적연금 제도로,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 1988년에 도입되었습니다. 하지만 저출산·고령화 문제가 심화되면서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1990년생을 포함한 청년 세대는 연금을 납부하고 있지만, 실제로 연금을 받을 시점에는 기금이 고갈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이번 글에서는 1990년생이 현재까지 납부한 국민연금, 앞으로 납부할 금액, 그리고 연금을 받을 나이가 되었을 때 받을 수 있는 예상 금액을 분석하고, 국민연금 고갈 문제와 이에 대한 여론을 다루겠습니다.


1. 90년생이 현재까지 납부한 국민연금과 앞으로 납부할 금액

국민연금 보험료 산정 방식

국민연금은 소득의 9%를 보험료로 납부해야 하며, 이 중 절반(4.5%)은 근로자가, 나머지 절반(4.5%)은 사업주가 부담합니다. 따라서 개인이 실제로 부담하는 금액은 4.5% 수준입니다.

국민연금 보험료 공식
월 보험료 = 월 소득 × 9%

평균 연봉 기준 90년생의 국민연금 납부액

1990년생의 올해(2025년) 기준 나이는 35세입니다. 대한민국 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약 4,000만 원(2024년 통계청 자료 기준)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국민연금 납부액을 계산해보겠습니다.

  • 월 소득: 약 333만 원 (연봉 4,000만 원 ÷ 12개월)
  • 월 납부 보험료: 333만 원 × 9% = 29만 9천 원
  • 연간 납부 보험료: 29만 9천 원 × 12개월 = 약 359만 원
  • 2025년까지 납부한 총액:
    • 국민연금은 만 18세부터 가입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취업 후 납부를 시작한다고 가정할 때 25세부터 납부했다고 보면 됩니다.
    • 35세까지 10년간 납부한 금액: 359만 원 × 10년 = 약 3,590만 원

앞으로 납부해야 할 금액

국민연금은 현재 60세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앞으로 25년간 더 납부해야 하므로,

  • 향후 25년간 납부액: 359만 원 × 25년 = 약 8,975만 원
  • 총 납부 금액 (35년 기준): 3,590만 원 + 8,975만 원 = 약 1억 2,565만 원

2. 90년생이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와 예상 수령액

국민연금은 현재 만 63세부터 지급되며, 향후 단계적으로 지급 개시 연령이 늦춰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35년 동안 국민연금을 납부한 경우, 예상 연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민연금공단의 연금 예상 계산 기준)

  • 월 예상 연금액: 150만 원~160만 원
  • 연간 연금액: 약 1,800만 원~1,920만 원
  • 10년 동안 받을 수 있는 금액: 약 1억 8천만 원~1억 9천2백만 원

하지만 국민연금 기금이 고갈되면 이런 금액을 정상적으로 받을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습니다.


3. 국민연금 고갈 문제,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까?

현재 국민연금 재정은 지속적으로 적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여러 연구기관에서 국민연금 기금이 2054년경 고갈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연도기금 잔액 (조 원)연간 적자 규모 (조 원)

2025 1,033 0
2035 920 -50
2045 450 -100
2054 0 -150

🔹 왜 국민연금이 고갈될까?

  • 고령화로 연금 수급자가 급증 → 출생아 수는 감소하는데, 고령층 인구가 늘어나 연금 수급자는 계속 증가
  • 연금 수령액이 늘어나고 납부자가 줄어듦 → 현재 연금 제도는 소득 대비 낮은 보험료율을 유지하고 있어 지속 가능한 구조가 아님
  • 정부의 미흡한 개혁 → 연금 개혁 논의는 있지만, 정치적 부담으로 인해 실질적인 개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4. 국민연금에 대한 여론

현재 국민연금에 대한 여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1) "우리는 받을 수 있을까?" – 불안한 젊은 세대

  • "90년생부터는 국민연금을 받을 수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연금 기금 고갈에 대한 불안감이 큼
  • 연금 개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연금 지급 시점에서 지급액 삭감이나 지급 연령 연장이 불가피

👍 2) "보험료 인상 & 연금개혁 필요" – 정부와 전문가 의견

  • 현재 국민연금 보험료율 9% → 15% 이상으로 인상 필요
  • 연금 개혁을 통해 지급 연령을 더 늦추거나, 연금 지급 방식을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

5. 해결책은? 개인의 대처법

국민연금만으로는 안정적인 노후 준비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도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1) 퇴직연금(IRP) 및 개인연금 가입

  • 국민연금 외에 개인연금 (연금저축, IRP) 등을 활용하여 노후 소득을 보완

✅ 2) 자산 투자 및 재테크

  • 부동산, 주식, ETF 등을 활용하여 장기적인 자산 증식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

✅ 3) 지속적인 연금 개혁 감시 및 참여

  • 국민연금 개혁 방향에 관심을 가지고, 필요할 경우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는 것도 필요

6. 결론

1990년생이 평생 국민연금을 납부해도 연금을 받을 시점에 기금이 고갈될 가능성이 높다.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선 빠른 연금 개혁이 필요하며, 개인적으로도 추가적인 자산 관리를 통해 대비해야 한다.

 

https://youtu.be/BN0xryLwjwk

 

반응형
BIG